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라클 데이타 베이스 개념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Oracle 데이타 베이스란 ?
오라클은 데이타베이스를 만드는 회사의 이름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이타 베이스가 무엇인지 알아야 겠지요 ? 데이타베이스 ? 요즘에는 빅데이터 라는 말을 많이 쓰고 데이타 시대다 데이
jerryjang.tistory.com
인스턴스 개념
오라클에서 데이타 베이스를 가동 한다고 한다면 구체적으로는 오라클 인스턴스가 가동 되는것입니다. 그럼 인스턴스는 무엇일까요 ?
쉽게 정의하면 오라클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 프로세스 + 물리적인 데이타 파일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각각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메모리
모든 프로그램이 실행하는데 필요하듯이 오라클 역시 하나의 프로그램임으로 오라클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오라클만의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서버에 있는 메모리를 오라클이 구동하기 위해서 일정량의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그러면서 오라클 메모리 자체내에서도 각각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메모리 영역을 구분하여서 사용합니다. 즉 다시 말하면 총 서버의 메모리 용량이 4G 인데 오라클 메모리가 4G 중 2G 를 사용한다고 정의 한다면 오라클은 2G 내에서도 A 영역 500M B영역 1G 등을 나누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버전이 올라갈수록 메모리를 나누는 영역도 다양해집니다만 여기서는 전통적으로 필요한 영역에 대해서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 Shared Pool
오라클 메모리에 들어오는 SQL 이 올바른 문법에 의해서 작성되었는지 기존에 수행되었던적이 있는지 등을 체크 합니
다. Shared Pool 은 더 구체적으로 나누면 Library Cache , Dictionary Cache 등으로 나눌수도 있지만 너무 복잡해짐으
으로 간략하게 Shared Pool 은 데이타를 가져오는 SQL 에 관해서 체크 하는 영역이다 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2) DB Buffer Cache
데이타를 가져올때 물리적인 파일에 있는 데이타를 메모리 영역에 올려 놓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타를 찾을때 메모리에
있으면 해당 데이타를 바로 가져오고 없으면 물리적인 파일에서 읽은후 해당 데이타를 DB Buffer Cache 올려 놓은뒤 데
데이타를 가져 옵니다.
3) Redo log Buffer
테이블에 데이타가 변경될시 변경되는 이력들을 저장해 놓습니다.
프로세스
오라클이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프로세스들이 수행되어야 합니다. 위에서 말한 데이타를 메모리에서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것도 프로스세스 이고 메모리 에 있는 데이타를 물리적 파일에 옮겨 놓는것도 프로세스 입니다. 다양한 이름을 가진 프로세스가 (PMON , SMON ...)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물론 오라클에서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실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이런게 있다 정도만 아시면 됩니다. 물론 모니터링 할경우에는 세션 관리 도 중요하지만 여기에서는 이정도만 알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실질적으로 프로세스를 만질일은 없습니다.
물리적인 데이타 파일
메모리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데이타를 계속 가질수 없습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데이타 파일에 필요한 정보를 넣어 두고 필요한때만 해당 데이타 파일들을 메모리에 올려 놓고 사용합니다. 먼 미래에 메모리가 너무 싸져서 하드디스크를 대처 한다면 모를까 메모리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하드 디스크에 놓여 있는 물리적 파일을 사용할수 밖에 없습니다. 데이타 파일 종류에는 데이타 파일 , 언두세그먼트 파일 , 컨트롤 파일 , 리두로그 파일등 있습니다.
1) 데이타 파일
메모리 DB Buffer Cache 에 있는 데이타 들이 DBWn 이라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데이타 파일에 데이타가 쌓입니다. 일반
으로 업무시 사용하는 데이타 들은 데이타 파일에 저장해 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파일입니다.
2) 언두세그먼트파일
데이타가 변경된후 커밋 되기기전 파일들을 관리하는 파일입니다.
3) 컨트롤 파일
오라클 데이타 베이스가 시작되기전 필요한 요소들을 정의 해 놓은 파일입니다.
4) 리두로그 파일
Redo log Buufer 있는 이력관리 내용들이 저장되는 파일입니다. 이후 해당 파일들이 archive file 을 생성 됩니다.
archive 에 대한 내용은 추후 포스팅 하겠습니다.
그외에도 파라미터 파일 , 패스워드 파일등 여러개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오라클 인스컨스가 생성되어서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타이거즈 2000년대 신인지명 드래프트 이야기 (0) | 2022.10.09 |
---|---|
오라클 데이타를 관리하는 저장관리 테이블 스페이스 , 테이블 (0) | 2022.10.08 |
Oracle 데이타 베이스란 ? (0) | 2022.10.05 |
포장이사 체크할점 (0) | 2022.10.04 |
아토피 이야기 (0)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