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대금이란 ?
주식을 사고 판다는 것은 누군가는 해당 주가의 가격에 팔고 누군가는 주가를 산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그날 거래가 발생하고 당일 팔고 산 물량의 총합을 거래량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날 발생한 돈의 거래금액이 거래대금이죠
거래대금 vs 거래량 ?
그러면 거래량 과 거래대금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수량과 금액이지만 본질적으로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왜 거래량이 아니고 거래대금일까요 ? 바로 얼마의 거래대금이 터졌냐에 따라서 직관적으로 많이 터졌다 적게 터졌다를 알수가 있어서 중요한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A 주식과 B 주식이 있는데 A 주식은 현재주가가 10,000 원이고 B 주가는 100원 이라고 했을때 똑같이 거래대금이 1000억원이 터졌다고 한다면 A주식은 1000만 거래량이 발생했고 B 주가는 10억 거래량이 발생했습니다. 상식적으로 10억 거래량이 발생했다면 많이 발생했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A 주식처럼 1000만 거래량이 발생했다고 한다면 이게 많이 발생한건지 적게 발생한건지 판단하기가 객관적이지 않습니다. 어떤주식한테는 많이 발생한것이 되겠고 어떤 주식한테는 적게 발생하게 된거겠죠 이와 같이 거래량만 봤을때는 해당 주식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거래량만 봐도 알겠지만 일반 투자자는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거래대금을 본다면 어떨까요 ? 누가 봐도 1000억 100억 돈만 보면 아 오늘 이종목은 거래금액이 많이 발생했구나 알수 있지 않을가요 ? 실질적으로 시장의 주도주라고 한다면 금일 주식시장에서 가장 관심을 받고 가장 매매가 이뤄진 종목입니다. 따라서 거래량만 보면 파악하기 힘든 주도주가 거래금액만 보면 판단할수 있는 근거가 생기는것 입니다. 여기서 주의 할점은 거래대금이 많이 터졌다고 해서 주도주는 아닙니다. 주도주로 볼수 있는 하나의 근거라는 애기입니다.
거래대금 얼마나 터져야 좋은건가 ?
얼마면 좋다 이런 절대적인 기준은 없으나 저는 개인적으로 1000억이상 터지면 일단 시장의 관심을 받은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음봉이 아닌 양봉이 나와야 하고 꼬리 보다는 몸통이 커야 좋겠죠 . 하지만 이것도 시장의 상승기냐 하락기냐 에 따라서 기준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 근데 일반적인 사람이 현재 상승기냐 하락기냐 아는것도 쉽지 않죠 그래서 제가 쉽게 파악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꼐요 영웅문 기준으로 0186을 치시면 거래대금 순위가 나옵니다. 가장 최근인 9월 16일을 보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여기서 음봉 제외하고 양봉에서도 종가가 10% 이상인것만 보면 에스엠 , 모트렉스 , 한국전자인증
이렇게 보이네요 에스엠을 보면 봉 모양이 몸통보다는 아래꼬리가 훨씬 겔게 보입니다. 몸통이 더 길어야 함으로 이종목은 생략합니다.
모트렉스 일봉 모양을 보면 몸통이 긴 양봉이란것이 보이시죠 거래대금도 1900억이상이 터졌고요 아 그러면 9월 16일 시장에서 거래대금이 발생한것중 12위인것이 모트렉스인데 1900억이 터졌다 그러면 요즘 시장에서 이정도 금액이면 거래대금이 많이 터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거래대금만 보면 안됩니다. 이슈와 일봉위치도 봐야 합니다. 하지만 그것까지 설명하면 더 길어지기 때문에 오늘은 거래대금만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저는 모트렉스를 관심종목에 넣어 둡니다.
다음은 17위인 한국전자인증을 보겠습니다. 거래대금은 1700억정도 터졌네요 게다가 일봉 모양도 위에 있는 꼬리 보다 몸통이 더 큽니다. 그러면 좋은 모양입니다. 따라서 저는 16일날 관심종목으로 모트렉스와 한국전자인증을 2종목을 가져갑니다. 오직 거래대금만을 중심으로 봤을때 입니다. 저는 주로 20위 안에 있는 종목만 봅니다. 20위안에 위와 같은 일봉이 없을경우에만 20위 밖의 종목을 참조 하긴 하지만 가능하면 20위 안에서 결정할려고 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힌트를 더 준다면 무엇일까요 ?
네.. 바로 10위안에 들면 좋고 5위안에 들면 더 좋겠죠 즉 순위도 좋고 (거래대금 많이 터지고) 일봉 모양도 좋으면 아주 좋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위 차트를 보고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있을것 같네요 내차트에는 위처럼 거래대금이 안나오고 거래량이 나오는데요 하시는 분이 있을것 같네요 기본적인 차트에는 거래량이 나와요 이걸 거래대금 나오는 부분을 추가 하는 방법을 설명드릴께요
기본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면 위와 같이 지표추가를 것이 보일꺼에요
여기에서 거래대금이라고 치고 적용 누르시면 거래대금 지표가 차트에 추가 됩니다.
오늘 거래대금 설명은 여기까지 입니다. 저도 뭐 대단한 고수도 아니고 초보자분들이 혹시나마 도움이 될까 하는 마음에 제가 아는 선에서 가끔식 작성해 볼려고 합니다. 그냥 제 관점에서는 이렇게 보신다 하고 참조만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내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23일 여전히 시장은 불안합니다. 제주은행 (1) | 2022.09.29 |
---|---|
9월22일 주식관점 한일사료 할까 말까? (2) | 2022.09.29 |
9월21일 관심종목 한국경제TV , 하나기술 (2) | 2022.09.28 |
9월20일 거래대금 터진 종목 관심종목 없슴 (0) | 2022.09.28 |
9월19일 주식관점 (2)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