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복사열

by 제리장 2023. 9. 27.
반응형

복사열은 전자기파 복사에너지  때문에 생기는 이다. 물체들이 맞닿았을 때 또는 대류를 통해서 전달되는 열의 움직임이 아니라 전자기파가 물체를 이루고 있는 입자들의 운동량을 높이면서 생기는 열이다. 복사열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바닥난방이다. 바닥에 온수관을 깔고 더운 물을 흘려주면 그 것이 열원이 되어 바닥에서부터 복사열을 방출해 그 공간을 데워준다. 옛날에 구들장을 깔고 그 밑에 돌을 놓은 뒤 아궁이에 장작불을 때 구들장 밑 돌을 가열하여 가열된 돌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을 이용해 방안을 데우던 온돌도 같은 원리를 사용한 난방 방식이다. 

 

물체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직접 물체가 흡수하여 열로 변했을 때의 에너지를 말한다. 대류나 전도와 같은 현상을 거치지 않고 열이 직접 전달되었기때문에 열의 전달이 순간적으로 일어난다. 어떤 물체든 그 온도에 따른 복사열을 방출하며 이를 측정하려면 열전기쌍, 복사계, 복사고온계, 볼로미터 등을 사용한다.  대류를 통해서 이 전달되지 않고, 열이 직접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중간 공기나 진공과는 관계없이 공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열전달이 직접적이고 순간적이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이 난로가 있는 사무실보다 더 따뜻한 것은 그 때문이다. 모든 물체 온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복사열을 방출한다. 온도계 2개를 각각 흰색과 검은색 천으로 덮은 다음 햇빛에 노출시키면, 검은색 천으로 덮은 온도계의 온도가 더 빨리 올라간다. 이 때 햇빛을 통해 온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은 복사열 때문이다. 검은색은 복사열을 가장 잘 흡수하기도 하지만 가장 잘 방출하는 색이기도 하다. 

 

태양과 지구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는 진공인데도 태양에서 지구로 열이 전달되는데 그것은 분자 운동이 아닌, 빛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 진공중에도 전달된다. 이러한 열을 ‘복사열’이라고 한다. 보온병의 내부는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도록 만들어져 있는데 그것은 복사에 의한 열의 방출을 막기 위한 것이다.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화점 연소점 발화점 정리  (3) 2023.10.27
원기둥 밑면 넓이를 구하는 공식  (0) 2023.10.01
리프팅  (0) 2023.09.27
복사에너지  (0) 2023.09.27

댓글